TIP&TECH
-
Cygwin 삭제하기TIP&TECH/윈도우즈 2013. 3. 21. 10:28
Cygwin은 "프로그램 추가/삭제"를 통해 삭제할 수 없므로, 관련 파일과 레지스터 키를 직접 삭제를 해줘야합니다. 먼저, Cygwin에서 실행하고 있는 데몬이 있다면 모두 중지합니다. 더보기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Cygwin에 있는 ssh 데몬을 윈도우 서비스에 등록해서 사용하고 있었다면 중지하고 삭제해야 합니다. Cygwin에서 윈도우 서비스에 등록한 데몬을 찾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cygrunsrv -L cygsshd 그리고, 목록에 있는 서비스를 중지하고 삭제합니다. $ cygrunsrv -S cygsshd $ cygrunsrv -R cygsshd 이외에도 해줘야 할 점이 있는지는 https://cygwin.com/faq/faq.html#faq.setup.u..
-
리눅스에 PPPoE 서버 구축하기TIP&TECH/리눅스 2013. 3. 14. 12:27
※ 이 포스팅에 사용된 리눅스는 페도라를 사용하였습니다. PPPoE 서버를 구축하고 테스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환경을 구축 하였습니다. 리눅스에 PPP 데몬 및 PPPoE 플러그인을 설치합니다(yum을 이용하였습니다). # yum -y install ppp rp-pppoe 쉘 프롬프트 앞이 #로 시작되는 것은 root에서 실행하는 것을 가르킨다. PPPoE 관련 설정을 합니다. # cat > /etc/ppp/pppoe-server-options &1 "test" * "test" 192.168.1.1 EOF # echo "192.168.1.1-20" > /etc/ppp/allip PPPoE 서버를 시작하기 위한 스크립트를 작성합니다. # cat > /etc/ppp/pppoe-start /proc/sys/..
-
리눅스 쉘 프롬프트를 LCD에 표시하기TIP&TECH/리눅스 2013. 3. 12. 19:51
※ 이 글에 사용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TI사의 Sitara AM1808을 사용하였습니다. menuconfig를 실행하여 다음 항목들을 사용하도록 설정합니다. Device Drivers ---> Graphics support ---> Console display driver support ---> Framebuffer Console support /etc/inittab 파일에서 쉘 프롬프트를 출력할 디바이스를 설정합니다. 설정 방법은 각 시스템마다 틀리니 다음 예시는 참고만하시기 바랍니다. con:2345:respawn:/sbin/getty 115200 /dev/tty0 vt100 또는 1:2345:respawn:/sbin/getty 38400 tty1
-
리눅스 부팅 메시지를 LCD에 표시하기TIP&TECH/리눅스 2013. 3. 12. 19:47
※ 이 글에 사용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TI사의 Sitara AM1808을 사용하였습니다. menuconfig를 실행하여 다음 항목들을 사용하도록 설정합니다. General setup ---> [*] Configure standard kernel features (for small systems) Device Drivers ---> Character Devices ---> [*] Virtual terminal [*] Support for console on virtual terminal Boot options ---> (...console=tty1) Default kernel command string
-
쉘스크립트에서 파일 존재 유무 확인법TIP&TECH/리눅스 2013. 3. 11. 20:37
if [ -e ]; then echo "File is exist" else echo "File is not exist" fi 또는 if test -e ; then echo "File is exist" else echo "File is not exist" fi 옵션 -e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 -d 파일이 디렉토리인지 확인 -f 파일이 일반적인 파일인지 확인 -g 파일이 SGID 퍼미션을 가졌는지 확인 -r 파일이 읽기 가능인지 확인 -s 파일의 크기가 0이 아닌지 확인 -u 파일이 SUID 퍼미션을 가졌는지 확인 -w 파일이 쓰기 가능인지 확인 -x 파일이 실행 가능인지 확인 -h 파일이 심볼릭 링크인지 확인
-